728x90
반응형

 

B(Boron)붕소란?
▲원자번호 5번 B(붕소)

붕소란 무엇인가? 붕소는 준금속 화학 원소로 원자번호 5번 입니다. 이 원자는 자연에서는 존재 하지 않고 붕산석이나 붕산염과 같은 광물로 산찰 됩니다. 이 붕소의 단단함은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서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함을 가지기도 합니다. 색은 흑색에 가깝고 녹늑점은 2076°C, 끓는 점은 3927°C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높은 온도를 사용하여만 합니다.

 

 

▲붕소 원자 구조

 

5개의 전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 껍질에서의 존재비는 0.001%로 비교적 유니크한 물질 이지만, 저희 몸은 붕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성인에게 약 10mg정도 존재하며 특히 뼈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물론 칼슘, 마그네슘과 같이 뼈를 구성하는 성분은 아니지만 뼈의 성장에 관여하는 효소를 돕습니다. 즉 뼈와 다른 미네랄의 손실을 막아주어 여성에 경우는 골다공증의 예방, 면역력과 염증의 치유능력을 정상화 시키기도 합니다.

 

 

붕소 용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붕소의 쓰임새는 순수환 용도로는 별로 이용되지 않으나, 붕소와 다른 원소를 이용한 화합물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활용 됩니다.  

 

▲붕소를 이용한 방탄조끼

탄소, 질소와 화합물을 형성한 탄화붕소, 질화붕소는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해 방탄조끼, 군용 차량, 금속 연마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리에 산화붕소를 첨가하면 열팽창률이 낮아져 견고해집니다. 붕소는 값비싼 물질이 아니어서 대부분의 유리컵은 산화붕소를 이용한 내열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 DAWONMEDAX ->BNCT(붕소중성자 포획치료) 자료

DAWONMEDAX라는 회사에서 개발한 BNTC방식에도 붕소의 원리를 이용합니다. BNCT(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에 쓰이는 붕소는 붕소-10(10B)이며, 정상세포에 비해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모이는 붕소물질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붕소의 농도가 정상조직이나 혈액보다 암세포 내에서 3배 이상 높고 이에 따라 중성자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을 때 적용 가치가 커지는 것을 이용합니다.

 

암환자에게 붕소 약물을 주입하면, 암세포가 붕소를 선택적으로 섭취하여 함유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의료용 가속기를 활용하여 발생시킨 중성자를 암 세포에 조사하면 인체에는 무해한 중성자가 인체를 통과하면서 붕소를 함유한 암세포에서만 핵분열이 발생하여 고 에너지의 2차 입자들에 의해 정상세포의 손실 없이 암세포만 사멸된다고 합니다.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붕소

일본에서 우리나라에 붕소 공급을 요청한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붕소가 원자로 냉각에 사용되기 때문 입니다.

붕소는 핵분열을 막는데 꼭 필요한 감속재로 원자로 냉각에 꼭 필요하기에 과거에 일본이 붕소의 공급을 요청한적이 있습니다.

 

▲붕소 결핍? 과다?

 

앞서 내용을 언급했듯이 저희 몸에는 미량의 붕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붕소를 많이 먹는게 좋을까?  붕소 결핍에 의한 증상은 크게 문제 되지 않으며, 보통 붕소는 과일, 채소, 콩, 감자 등에 포함되어 있어 충분한 보충이 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칼슘, 마그네슘성분이 과다할 때, 붕소의 함량이 높은 물을 복용하면 붕소의 증가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과다할 경우는 오심, 구토, 설사, 피부염, 기면, 소변으로 칼슘손실 증가,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감소와 같은 독성 증상이 생길 수도 있으며, 진통제, 항생제, 비충혈제거제, 항히스타민제, 지사제, 제산제, 살충제, 먼지 등에 붕소의 함량이 많으므로 장기적 사용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