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두이노 우노 I/O 핀 출력 전류

Arduino Uno Board에 사용되는 ATmega328p에 대한 PIN Mapping입니다. 즉, 아두이노의 I/O Port관련된 출력 전류나 허용할 수 있는 전압 혹은 전류는 ATmega328p DataSheet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Tmega328p에 I/O Port 전류는 40mA입니다. 이 말은 아두이노 I/O출력 또한 40mA임을 뜻합니다. 그래서, 이번자료에는 I/O Port를 이용해서 40mA이상의 제품을 구동시킬 방법을 다루고자 합니다.
2. 사용 소스 코드
사양할 소스코드는 매우 간단합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는 코딩이 있으시고 전류만 높게 사용하실 분들은 기존 코드에서 회로만 약간 수정하시면 됩니다.

코드는 7번스위치 입력을 받아 12pin으로 출력하는 소스입니다.
3. I/O Port 40mA사용시 구성도

I/O Port 40mA사용시 구성도 입니다.별도로 외부전원 없이 Pin에서 다이렉트로 신호를 뽑아서 사용 하시면 되나, 그 이상의 전류가 필요한 제품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위 동영상은 40mA 이상의 전류가 필요한 펜을 2개로 연결 하였습니다. 전류가 부족하여 멈칫거리나 동작은하지 않습니다.
4. I/O Port 100mA~450mA사용시 구성도

100mA~450mA정도는 USB전원을 트랜지스터 컬렉터(C)로 받고, 베이스(B)쪽에 아두이노 출력 포트를 넣어주는 방법입니다.(USB PORT규격 및 컴퓨터 마다 정격 및 기준이 다르기에 100~450mA라고 표시함)

저는 C3203이라는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위 사진은 C3203 Pin Map입니다. 꼭, C3203이 아니더라도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시면 되니 쉽게 구할 수있는 부품입니다.(단, 부품 품번마다 PIN MAP이 다르니 DATASHEET를 숙지하시고 사용하세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외부전원없이 모터 3개를 구동했습니다. 대략적으로 전류는 200mA정도 됩니다.
5. I/O Port 450mA이상 사용시 구성도

마지막 방법으로는 외부전원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4번과 같은 상태에서 USB전원이아닌 외부 아답터나, 1.5V건전지 3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그 전원의 용량 (EX) 5V 3A면 3A만큼의 제품을 구동가능)으로 구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위처럼 몇개의 제품을 연결하 더라도 외부전원 용량 만큼 사양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하셔 야할 점은 에미타(E)부분에 저항을 달아서 전류 보호를 해주어야 합니다.
6. 온도센서를 이용한 회로도 첨부

7. 4번 방식을 이용한 온도센서 첨부 구성도

'LAP > Ardu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ino]아두이노 ADC 채널을 이용한 다중 전압 측정 (0) | 2020.05.13 |
---|---|
[아두이노]온도 값, 0.91인치 OLED에 Display하기(I2C) (0) | 2020.03.12 |
[아두이노] CLCD에서 ADC(온도센서 값)읽기 (0) | 2019.09.27 |
[아두이노] 16X2 CLCD LiquidCrystal 사용 (0) | 2019.09.27 |
[아두이노] duty cycle이용1V단위로 5V 만들기(Voltage Converting) (0) | 2019.09.26 |